본문 바로가기
독서 이야기/독서 노트

글쓰기의 최전선 - 은유 (메멘토, 2015)

by 양손잡이™ 2017. 9. 26.

밀린 독후감이 많아서 기록의 의미로 짧게 쓴다.


1. 작년 말에 도서관에서 빌렸던 책이다. 한참 책읽기와 글쓰기 ‘기술’에 몰두하던 때라 실질적인 글쓰기 팁을 전수하는 책인줄 알았건만 웬걸, 글쓰기를 주제로 한 에세이집이었다. 찾던 주제의 글이 아닌지라 글의 첫 장을 읽자마자 바로 덮었다. 그때는 뭔가 삘이 오지 않았다.


2주 전에 도서관을 찾았을 때, 사실 이 책은 관심목록에 없었다. 다른 책을 한참 찾다가 우연히 서가에 꽂힌 빨간 표지의 책을 봤다. 그때 느꼈지, 아, 이놈은 지금 읽어야 하는구나. 그길로 뽑아 도서관에서 돌아오는 길에 찬바람을 맞으며 책을 읽었다.


2. 은유는 필명으로 여성 작가이다. 문단에 등단해서 전문적인 글을 쓰는 건 아니다. 심지어 대학도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연구공동체 수유너머R에 소속해 공부하며 글쓰기를 가르친다. 소설이나 시보다는 실증적인 글을 주로 쓰는 듯하다. 최근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를 출간하며 여성으로서 사는 게 얼마나 힘든지 실제의 언어를 통해 말했다.


<글쓰기의 최전선>은 수유너머R에서 진행됐던 글쓰기 수업의 이름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수업에서 여러 사람을 만났다. 주부, 직장인, 학생, 취업준비생, 사회단체 활동가, 성폭력 피해 여성과 서로의 삶을 이야기했다. 그는 남의 이야기를 경청할 것을 권하는데 (이기적이고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이것은 공감능력을 잃지 않고 자신의 삶을 확장시키는 데 좋은 태도라고 생각한다. 관계가 부족하면 인생에서 오직 ‘내’ 이야기만 있으니, 소통도 힘들고 결국 존재의 빈곤으로 자신을 표현할 글감마저 떨어지는 셈이다.


3. 책 읽기에 대해 말하면서 카프카의 ‘도끼’를 언급한다. 김웅현이 <책은 도끼다>로 많이 퍼트린 그 구절! 거기에 발터 벤야민의 말도 덧붙인다. ‘책을 읽는 것이 아니다. 행간에 머무르고 거주하는 것이다.’ 쉬운 책, 재밌는 책만 읽지 말고 어렵고 자신을 멍하게 만들 책을 읽으라는 다소 상투적인 이야기도 한다.


저자는 특히 문학을 강조한다. 특히 문학의 ‘쓸모-없음’을 말하면서 김현 선생의 글을 소개한다. 남은 일생 내내 써먹지 못하는 문학은 해서 무엇하느냐는 어머니의 질문에 답하며 김현 선생이 쓴 글이다.


확실히 문학은 이제 권력에의 지름길이 아니며, 그런 의미에서 문학은 써먹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문학은 그 써먹지 못한다는 것을 써 먹고 있다. 문학을 함으로써 우리는 서유럽의 한 위대한 지성이 탄식했듯 배고픈 사람 하나 구하지 못하며, 물론 출세하지도, 큰 돈을 벌지도 못한다. 그러나 그것은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인간을 억압하지 않는다. 인간에게 유용한 것은 대체로 그것이 유용하다는 것 때문에 인간을 억압한다. ... 그러나 문학은 유용한 것이 아나니기 때문에 인간을 억압하지 않는다.  _김현. 95쪽.


간혹 무의미한 책 읽기를 권하는 글을 본다. 어렴풋한 기억으로는 김열규 교수의 <독서>에서 본 것 같다. 문학을 뭐하러 읽느냐, 돈도 안되고 명예도 되지 않는다. 자기계발서나 경영서처럼 독자를 바꾸고 돈을 벌어다주지 못한다. 이런 비아냥 속에서도 우리가 문학을 읽고 ‘하는’ 이유는 따로 없다. 문학은 그 자체, 그냥 문학이기 때문이다.


4. 작가가 르포르타주를 주로 쓰는 걸로 아는데, 재밌게도 시도 좋아한다고 한다. 시를 읽으면 평소에 쓰지 않는 단어를 접하고 색다른 느낌을 갖는다. 그런 경험이 쌓이면 천석꾼  부럽지 않게 든든하다고 한다. 이 느낌에 관한 짤막한 에피소드가 있다. 김수영의 시를 읽는 수업에서, 한 학인이 시 읽기가 너무 어려워 유명한 철학자가 진행한 김수영 시 강연을 들었다고 한다.(아마 강신주일테지) 내가 보기에는 아주 기특한 일이었는데, 저자 입장에서는 아니었나보다.


우리가 붙들어야 할 것은 ‘안 읽히는’ 김수영의 시-삶이지, 김수영이ㅡ 시-삶을 이론의 형틀로 찍어낸 ‘잘 읽히는’ 지식인의 해석이 아니다. 소박하고 거칠더라도 자기 느낌과 생각으로 시를 읽어내고 해설하느라 낑낑대는 것이 공부다. 독서의 참맛이다. (학자의) 권위에 복종하지 말고 (나만의) 느낌에 집중하기. 시의 본령은 지식의 확장이 아니라 삶의 결을 무한히 펼치는 데 있다. 시가 아무리 어려워도 처음 읽을 때는 참고도서를 들춰보지 말자고 당부했다. _100,101쪽.


<나는 이렇게 읽습니다>에서 소개한 문사철 독서법과 반대되는 입장이다. 시와 소설은 그렇게 다른가보다. 소설은 서사에 힘이 있다. 서사를 완벽히 알려면 그것이 어떻게 나왔는지 시대 흐름이나 작가가 추구하는 바를 같이 공부해야 한다. 그래야 작품이 온전하게 소화된다. 그러나 시는 다른 걸까. 물론 시대상도 중요하다. 시인이 자신의 시대를 살면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 알면 시가 더 잘보인다. 허나 문학은 오독도 그 맛이다. 저자가 이런 의미로 썼다 해도 우리가 이런 의미가 아닌 저런 의미로 받아들여도 좋다. 짧은 구절에 소설보다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시이기에 이런 점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 같다.


5. 글쓰기, 문학 읽기를 대하는 태도를 다룬 2장까지는 아주 마음에 들었으나 글쓰기 기술을 조금씩 설명하는 3장부터 흥미가 떨어진다. 어라, 처음에는 글쓰기 기술을 바라고 읽었던 책인데 어느새 입장이 정반대가 됐다. 아마도 이 책에서 읽은 글이 실제의 팁이나 기술이 아니기 때문일테다. 은유라는 작가에게 기술적인 말을 듣다니, 뭔가 내 기대에 반하는 걸, 이라고 혼자 속상해하는 기분이랄까.


6. 6장 부록에 딸린 르포와 인터뷰는 읽기를 추천한다. 저자의 글이 아니라 저자와 함께 공부한 학인들의 글이다. 별 내용이 아닌 듯싶으면서도 가슴에 조그만 멍울 하나를 만든다. 인터뷰가 이렇게 울림을 주는지는 몰랐다. 나도 언젠가는 우리 부모님을 인터뷰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