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이야기/독서 노트

소멸세계 - 무라타 사야카 (살림, 2017)

by 양손잡이™ 2017. 12. 30.

소멸세계
무라타 사야카 지음, 최고은 옮김/살림




소설 속 세계에서 인간은 더이상 성교를 통해 아이를 낳지 않는다. 오로지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볼 수 있다. 주인공 아마네는 이런 세계에서 부모의 ‘교미’를 통해 세상의 빛을 보았다. 왜 자신만 이상한 걸까? 그녀는 자신의 진짜 본능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사랑과 섹스에 몰입한다.


성인이 된 아마네는 남편 아마미야와 함께 실험도시 지바로 들어간다. 지바에서는 아이를 낳기까지만 하고 키우는 것은 국가기관이 담당한다. 동시에 시민 모두가 ‘엄마’가 되어 공동육아를 한다. 아마네 부부는 아이를 낳아도 센터에 보내지 않고 몰래 키우자고 하지만, 인공자궁을 달고 아이를 품은 남편의 태도가 조금씩 변하자 위화감을 느낀다.



어쩌면, 유토피아


<소멸세계> 의 세계는 유토피아의 면모를 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여성이 간단한 시술만 받으면 생리 시 고통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피임시술도 쉬운 일이다.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낳으니 생리와 피임이라는 필요성이 희박해진 것이다.


생물학적으로 여성만이 가능했던 임신은 남성도 가능하다. 아직 개발 중이지만 인공자궁을 달면 남성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 여성만 느끼던 출산의 불편함을 남성도 분담함으로써 생리적인 면에서 남녀 차이는 거의 사라졌다. 출산에 따른 남녀격차도 분명히 줄어들었을 것이다.


양육의 불편함도 사라진다. 국가에서 모든 양육을 책임지기 때문이다. 사회 공동의 ‘엄마’로서 아이를 볼 때도 있지만 우리 사회와 같은 크기의 책임감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전통적인 가족관계도 해체되면서 고부갈등 따위는 옛말사전에 오를 것이다.



어쩌면, 디스토피아


소설 속 세계는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한다. 과학은 다소 비효율적이던 가족이라는 시스템을 파괴하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었다. 합리성으로만 가득한 세계에서 인간은 유전자 캐리어로 격하된다. 우리는 균일하고다루기 편한 ‘인간’을 제작하는 공장에서 일하게 되는 셈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인간을 후손을 위해 잠시 이 세상에 머무르는 존재라고 말한 바 있다. 우리가 그저 미래로 생명을 이어가는 매개체일 뿐이라니, 인간 진화의 긴 연대기 안에서는 맞는 말이겠지만 씁쓸한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인간이 후손을 위한 매개체로 전락하면서 모두 개성을 잃는다. 지바 실험도시에서 새로 태어나는 아이들은 모두 비슷한 생김새다. 같은 옷을 입고 같은 단발머리에 웃을 때 같은 근육을 쓴다. 아이들은 이름이 있을까? 개개인이 가진 특별한 능력도 특별히 발현되지 않을 것이다. 모두들 그저 후대를 위해 아이를 낳는 기계이자 소모품이 되어버린다.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무엇


작가 무라타 사야카는 <편의점 세계>로 신선한 충격을 줬는데, <소멸세계>는 신선하다 못해 과하다 싶을 정도다. 재밌는 점은 두 작품 모두 처음에는 거부감이 들지만 뒤로 갈수록 점차 작가에 설득당한다는 것이다. 정상과 비정상의 범주를 흔들어 지금 우리가 부르는 상식에 의문을 들게 하는 점이 무라타 사야카가 작가로서 가진 힘이다. <소멸세계>에서는 우리가 사는 지금이 진화의 세계에서는 짤막한 한순간이라는 허무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정상, 비정상, 상식을 언급했는데 추가로 말하고 싶은 것이 있다. 극도의 합리와 이성이 만든 <소멸세계>에서 인간의 존재는 위태위태하다. 인간이 유전자 캐리어와 사회적 기능으로서만 존재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인간 종이라는 넓은 풀에 개인이 파묻힌다면 우리의 존재 의미는 무엇일까?


인간은 가장 뛰어난 종도 아니고 이 세상에 한 때 사는 존재지만 자기 성찰이 가능한 유일한 존재로서 동물과 다르다. 우리는 최고는 아니지만 인간으로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이 분명히 있다. 아마네의 남편 아마미야는, 지금 시대에는 가족이라 명명한 존재가 남과 어떻게 다른지 아무도 설명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미래에 전통적인 가족의 형태는 사라지겠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아마미야의 말에 반박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다소 보수적인 사고일 수도 있지만 이것이야말로 우리 인간사회의 근본이라고 생각한다.


소설 마지막에서 아마네는 어머니를 버림으로서 자신에게 내려진 저주와 같은 구시대적 관습을 끊고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려고 한다. 하지만 아이와 육체적 성교를 하면서 다시 세상의 돌연변이가 된다. 아마네의 이런 행동은 정적으로 돌아가는 세계에 새로운 원동력이 될까? 아마네의 눈물겨운 발악이 이 세계에 어떤 파동을 일으킬지 궁금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