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소영 (전)아나운서이자 (현)책발전소 사장님의 두번째 책이다. 집과 가까운 광교에 책발전소 광교점이 있어 종종 들르는데, 이곳의 분위기가 참 좋다. 적당한 넓이의 가게, 마음에 드는 큐레이션, 사람이 많지만 동시에 조용한 분위기. 무엇보다도 책을 읽는 사람이 많다는 게 가장 마음에 든다. 한 자리에 앉아 진득하니 책을 읽거나 공부하는 공간. 그런 사람들 사이에서는 책 한 장이라도 더 읽고 싶은 읽고픈 마음이 샘솟는다.
2. 이런 매력적인 공간을 넘어, 저자는 온라인에서도 책 관련 사업을 시작했다. 이른바 책발전소 온라인 북클럽!(브론테라는 온라인 몰의 하위 브랜드로 보이는데 정확히는 모르겠다) 북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한 달에 한 권, 큐레이터가 고른 책과 함께 책을 소개하는 큐레이션 레터를 받는다. <무뎌진 감정이 말을 걸어올 때>는 이 큐레이션 레터를 모은 책이다.
3. 큐레이터는 책을 소개하면서, 이 책을 왜 골랐는지를 얘기한다.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자신의 이야기를 꺼낸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하재영 저)은 작가가 살아온 집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을 소재로, 김소영 작가는 자신의 과거와, 부모님과의 생활을 말한다. 어릴 적 이사를 자주 했다거나, 책발전소를 만든 후에 아버지가 화단을 가꾸어주신다는 둥 말이다. 내가 가장 선호하는 타입의 글이다.
4.
책 읽기는 수시로 좁아지려는 저의 세계를 부단히 넓히고, 얕아지는 제 마음의 벽을 숱하게 찔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책을 읽어서 제가 크게 달라진 점은 없을 겁니다. 그 대상이 책이든, 다른 무엇이든 늘 어딘가를 향해 힘껏 달리며, 때로는 성공과 실패를 번갈아 하며 그 과정 자체에 빠져든 탓에 주변을 잘 돌보지 못하기도 하겠죠. 그렇기에 저와 같은 사람들을 더 많이 이해하고 사랑해 보려고 노력하는 저를 변명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보냅니다. _222쪽, ‘끝맺는 말’에서
소개된 책은 모두 문학 – 특히 소설과 에세이에 집중되어 있다. 독서력의 편파가 심한 다수에게 한 달에 한 권을 소개하는만큼 아무래도 독서 난이도를 낮춘 것 같다. 아무래도 소설, 에세이가 비교적 쉬운 장르이기 때문이렸다. 소개된 책은 글 가장 아래에 써놨으니, 참고하시라.
5.
영화 ‘어바웃 타임’에는 주인공의 아버지가 시간을 돌려 책을 읽고 또 읽었다고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자신이 만든 목록의 책을 다 읽기 위해 끊임없이 과거로 돌아갔다는 거죠. 그건 좀 부럽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책을 계속 읽고자 우리는 과거로 갈 순 없지만, 책에 몰입하다 보면 한결 나아진 듯한 나 자신을 만나는 일만은 충분히 가능할 겁니다. _82쪽, ‘나 홀로 즐기는 행복한 고독’에서
책을 처음 폈을 때의 솔직한 심정을 남겨본다. 저자와 제목만 보고 산 책인데, 본문은 기대보다 별로(…)였다. 정돈되지 않고, 다소 감정과잉을 띈다고 생각했다. 중반부까지는 이런 시각으로 책을 봤는데, 읽다 보니 소개하는 책 자체가 너무 재밌어보였다. 특히 모르는 책을 소개하는 챕터가 흥미로웠다(<스페인 여자의 딸>, <스몰 플레져>,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 등). 책을 읽고 싶은 욕심을 가득 채워주는 책이다. 계속 읽게 만드는 매력이 가득하다.
아, 종이책도 전자책도 엄청나게 가지고 있는데, 책발전소 북클럽 가입 욕심이 드네. 자제해야 하는데.
* 소개하는 책 목록(아래 클릭)
그리움이 정원에서 - 크리스티앙 보뱅
우리 사이에 오해가 있다 - 이슬아, 남궁민
올리브 키터리지 -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타키니아의 작은 말들 - 마르그리트 뒤라스
트로츠키와 야생란 - 이장욱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 하재영
책의 말들 - 김겨울
행복의 나라 - F.스콧 피츠제랄드
다정 소감 - 김혼비
동급생 - 프레드 울만
우리는 우리를 잊지 못하고 - 김민철
스페인 여자의 딸 - 카리나 사인스 보르고
스몰 플레져 - 클레어 챔버스
마이너 필링스 - 캐쉬 박 홍
장미의 이름은 장미 - 은희경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 - 에리카 산체스
기적일지도 몰라 - 최희서
배움의 발견 - 파라 웨스트 오버
대불호텔의 유령 - 강화길
H마트에서 울다 - 미쉘 사우나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습니다 - 금정연
- 저자
- 김소영
- 출판
- 책발전소X테라코타
- 출판일
- 2022.11.09
'독서 이야기 > 독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다리를 건널 때 - 문지혁 (다산책방, 2022) (2) | 2023.01.30 |
---|---|
아침의 피아노 - 김진영 (한겨레출판, 2018) (1) | 2023.01.26 |
인생의 역사 - 신형철 (난다, 2022) (1) | 2023.01.16 |
아버지의 해방일지 - 정지아 (창비, 2022) (2) | 2023.01.09 |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 이나다 도요시 (현대지성, 2022) (1) | 2023.01.05 |
댓글